전체 글
-
일반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 준비하기(1월, 7월)카테고리 없음 2022. 9. 29. 15:16
왜 1월, 7월인가요? 이전 글들에서 언급했듯, 자영업자분들은 특별한 이유가 있지 않으면, 부가가치세를 1월 6월 내역을 7월 25일까지 신고, 7월부터 12월까지 내역을 1월 25일까지 신고한다. 그래서 제목에 1월, 7월이라고 적어두었다. 4월(10월)에 낸 부가가치세는 무엇인가요? 새로 사업을 개업하였거나, 직전 과세기간에 부가가치세를 환급받았거나, 부가가치세 납부액이 너무 적지 않았다면 4월, 10월에 예정고지라는 부가가치세 고시서를 받았을 것이다. 이는 자영업자들의 과세부담을 줄어주고 국가에서 세금의 유동적인 확보를 위한 방법이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이다. 이 세금은 이번 부가가치세를 신고하여 세금이 확정된 금액에서 제외될 예정이기에 세금을 두 번 내는 것은 아니다. 부가가치세 신고 준비하기 부가..
-
일반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서(뒷면) 이해하기카테고리 없음 2022. 9. 29. 13:21
지난 글에 이어 부가가치세 신고서를 이해하는 내용이다. 지난 글에서는 앞면을 설명하였고 이번에는 뒷면이다. 뒷면은 앞면의 내용들을 보충해주는 내용으로 생각하면 쉽다. 세로 부분의 구분은 앞면과 동일하다. 예정신고 누락분 명세 앞면에서 확인했듯, 예정신고 누락분은 확정신고 시에 반영할 수 있다. 이 내용을 조금 더 세분화하여 적는 칸이 "예정신고 누락분 명세"이다. 매출과 매입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증빙에 따라서 한 번 더 나누어 놓았다. 매출의 경우, 먼저 과세분과 영세분으로 나누어 세금의 유무를 구분한다. 그리고 세금계산서 매출분과 그 외의 매출로 나누어져 있다. 매입의 경우에는 세금계산서 매입분과 그 외의 증빙으로 구분해두었다. (14) 그 밖의 공제 매입세액 명세 "그 밖의 공제 매입세액 ..
-
일반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서(앞면) 이해하기카테고리 없음 2022. 9. 28. 17:48
한 장에 내용이 너무 많아! 한 장에 글씨가 너무 빼곡하게 들어있다. 하지만, 알고 나면 너무 간단하고 쉽다. 말이 어려울 뿐이지, 내용은 어렵지 않다. 내 생각이지만, 이 신고를 받아보는 세무서 직원들이 한눈에 내용을 알아볼 수 있도록 첫 장에 필요한 내용을 다 넣다 보니, 이렇게 된 듯하다. 그 정도로 첫 장에는 거의 모든 내용들이 들어가 있다. 그 안의 세부 내용들은 부속서류들이 뒷받침하는 식이다. 그리고 다음 포스팅에서 확인해 볼 신고서의 뒷장은 해당되는 사항들만 적는 신고서식이다. 복잡해 보이지만, 필수적인 내용은 앞장에, 선택적인 내용은 뒷장에, 뒷받침 내용은 부속서류에 포함되는 간단한 형식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필수적인 내용들이 들어가는 앞면에 대한 설명이다. 상단 먼저, 맨 위 상단 부분..
-
자영업자(일반과세자) 부가가치세 개념알기카테고리 없음 2022. 9. 28. 12:01
가장 먼저 만나는 세금, 부가가치세, 하지만 이제는 조금 달라져야 합니다. 부가가치세는 우리가 가장 먼저 접하는 세금 중 하나이다. 어릴 때 마트에서 과자를 하나 사고 영수증을 받으면서 볼 수 있는 세금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영업을 운영하고 있다면 부가가치세에 대한 개념이 조금 더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자영업자에게 부가가치세란 재료를 산 금액의 10%가 아닌 매출의 10%가 세금이라고 인식해야 한다. 그래야 나중에 세금을 납부할 때, 내 돈을 뺏기는 듯한 느낌이 들지 않을 것이다. 부가가치세를 신고하고 납부할 때면 내가 물건을 산 금액이 큰 것 같은데, 납부할 세금이 많이 나오기도 한다. 이것이 자영업자들이 세금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이다. 세무사에게 기장 및 신고를 맡기는 사람이 대부분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