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영업자(일반과세자) 부가가치세 개념알기카테고리 없음 2022. 9. 28. 12:01반응형
가장 먼저 만나는 세금, 부가가치세, 하지만 이제는 조금 달라져야 합니다.
부가가치세는 우리가 가장 먼저 접하는 세금 중 하나이다. 어릴 때 마트에서 과자를 하나 사고 영수증을 받으면서 볼 수 있는 세금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영업을 운영하고 있다면 부가가치세에 대한 개념이 조금 더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자영업자에게 부가가치세란 재료를 산 금액의 10%가 아닌 매출의 10%가 세금이라고 인식해야 한다. 그래야 나중에 세금을 납부할 때, 내 돈을 뺏기는 듯한 느낌이 들지 않을 것이다. 부가가치세를 신고하고 납부할 때면 내가 물건을 산 금액이 큰 것 같은데, 납부할 세금이 많이 나오기도 한다. 이것이 자영업자들이 세금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이다. 세무사에게 기장 및 신고를 맡기는 사람이 대부분일 것이다. 우리는 이 신고내용이 맞는지, 틀린 지 판단할 줄 알아야 한다. 그리고 내용이 틀렸다면, 수정을 요청할 수 있어야 한다.
부가가치세의 계산
자영업자 입장, 즉 신고자의 입장에서 부가가치세는 위에서도 언급했듯, 물건을 산 금액의 10%가 아니다. 물건을 판 금액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 이때, 물건을 판 금액의 세금을 '매출세액', 물건을 산 금액의 세금을 '매입세액'이라고 한다. 간혹 매출세액과 매입세액을 헷갈려하시는 분들도 계신다. 그럼 다시 돌아와서, 자영업자의 입장에서 부가가치세는 크게 '매출세액'-'매입세액'이 된다.
매출세액
매출세액을 자세히 보자면, 면세상품을 팔고 있지 않다면(면세사업자가 아니라면) 자영업자가 판매하는 물건에는 이미 부가세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니 매출금의 10%로 매출세액을 구하는 것이 아니다. 매출금의 10/110이 매출세액이 된다. 이것이 이해되지 않는다면, 아래의 예시를 보면 이해가 될 것이다.
매출액이 1,100원이라고 가정하면, 물건값 1,000원에 부가가치세 10%인 100원이 붙어 1,100원이 된 것이다. 즉, 매출세액은 1,100원*10/110을 한 값인 100원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매출세액을 계산할 때는 내 매출처의 모든 부분들을 확인해야 한다. 단순히 포스기기만을 생각하면 매출이 실제보다 낮을 수 있다.
매입세액
매입세액은 우리가 생각하는 물건의 10%이다. 근데, 이것도 우리가 편의상 10%라고 하는 것이지, 실제로는 매출세액과 마찬가지로 매입액의 10/110이다. 그리고 매입세액에는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내용들이 숨어있다. 내가 매입을 많이 하고 돈을 많이 쓴 것 같지만, 생각보다 매입세액이 적다면 그 답이 여기 있다.
매입세액 중에서도 부가가치세가 없는 물건, 즉 면세제품에는 당연히 부가가치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쌀, 채소 등이 포함된다. 또한 수도세도 이에 포함된다. 그리고 택시비, 약국, 간이과세자에게 구매한 금액 등 공제가 불가능한 내역들도 있다. 부가가치세를 조금 찾아본 분들 중에는 자동차와 관련한 내용을 접한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비영업용 승용차를 제외하고는 매입세액공제가 된다는 내용이다. 비영업용 승용차는 보통 1,000cc 이상의 자동차, 그러니까 영업용으로 쓰지 않을 것 같은 자동차들을 말한다. 차량 관련 공제받을 수 있는 영업용 자동차로는 125cc 미만의 오토바이, 화물차, 1,000cc 미만의 자동차, 승합차 정도로 생각하면 좋을 것 같다. 이 부분 관련해서는 이야기가 많아 다음에 다시 정리하는 것으로 한다.
이렇게 매입세액은 단순히 사용한 금액이 아닌 공제되는 항목 내에서 공제되기 때문에 생각보다 공제금액이 크지 않은 것이다. 그리고 여러분이 생각하시는 것보다 여러분들의 매출이 많을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한 달에 한 번 매출세액을 계산해서 세금으로 모아두었다가 부가세를 납부하고 남은 금액은 다시 모아 종합소득세나 원천세를 납부하는 것을 추천한다.
부가가치세의 기본 개념인 매출세액과 매입세액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였는데, "너무 기본적인 내용일까" 싶다가도 기본적이기에 관련 내용을 찾기 어려울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제일 내용이 많은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내용을 줄여보았다. 다음 내용에서는 신고서 보는 방법을 설명하며 조금 더 세부적인 내용을 다뤄보고자 한다.
반응형